반응형
티베트의 바즈라야나(Vajrayana, 금강승)는 '밀교(密法)'라고 불리는 깊은 수행법들을 통해 단 한 생에 깨달음을 이룰 수 있다고 전합니다. 이 글에서는 티베트 밀교 밀법 수행의 핵심을 이루는 7가지를 정리합니다.
1. 응드로(기초 수행)
- 개요: 오체투지, 귀의문 암송, 금강살타 진언 수행, 만다라 공양, 스승에 대한 헌신 등 5가지 요소를 각각 10만 번 수행
- 목적: 업장 소멸, 공덕 축적, 심신 준비
2. 구승(灌頂, 전수 의식)
- 개요: 수행자가 자격 있는 라마에게서 받는 복잡한 입문식. 보관(甁灌), 비밀, 지혜, 언어 전수로 구성
- 목적: 밀교 수행의 문을 여는 관문, 수행의 허가와 가르침의 전수
3. 구루 요가
- 개요: 자신의 스승을 부처로 시각화하며 마음을 합일시키는 수행
- 목적: 스승의 가피 수용, 신심 강화, 청정 견해 유지
4. 본존 요가(불상 숭배 명상)
- 개요: 관세음보살 등 본존(Yidam)을 시각화하고, 진언과 수인으로 수행
- 목적: 자아 해체, 깨달은 자의 성품 구현
5. 진언 염송
- 개요: “옴 마니 반메 훔” 등 신성한 음절을 반복 암송
- 목적: 의식 정화, 마음 집중, 에너지 정렬
6. 만다라 공양
- 개요: 만다라를 부처에게 시각화하여 바치는 수행
- 목적: 보시 수행, 공덕 축적, 공성 통찰 강화
7. 완성 단계 요가 (튬모, 카르마무드라 등)
- 개요: 내열명상(튬모), 기맥 수련, 쌍운수행 등 고급 밀교 수행
- 목적: 에너지의 지혜화, 공과 열락의 직관적 체험
티베트 밀교 밀법 수행 요약표
수행법 | 기능 |
---|---|
응드로 | 업장 소멸, 공덕 축적 |
구승 | 수행 전수 및 허가 |
구루 요가 | 스승과의 합일, 신심 유지 |
본존 요가 | 깨달음 자아 시각화 |
진언 & 만다라 | 정화, 집중, 공덕 생성 |
완성 요가 | 열락·공의 직접 체험 |
밀법 수행 통합을 위한 실천 단계
- 대승 불교 기초(계율, 보리심, 자비심) 확립
- 응드로로 업장을 소멸하고 공덕을 축적
- 자격 있는 라마에게 구승을 받음
- 구루 요가 중심으로 신심 유지
- 본존 요가와 진언 염송 병행
- 만다라 공양을 일상화
- 스승 지도 아래 완성 단계 요가로 진입
맺음말
티베트 밀교의 7대 밀법은 수행자에게 급속한 영적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. 시각화, 의례, 헌신, 에너지 훈련이 어우러진 이 수행들은 자격 있는 스승의 지도 아래 정성껏 행할 때, 그 안에 내재된 부처성을 빠르게 일깨울 수 있습니다.
반응형